기분 전환을 위해 한 염색인데, 참을 수 없는 두피 가려움 때문에 밤잠 설치고 계신가요? 예뻐지려고 한 염색이 오히려 고통이 되어버린 당신, 혼자만 겪는 문제가 아닙니다. 염색 후 찾아오는 지긋지긋한 두피 가려움, 원인만 제대로 알면 얼마든지 현명하게 대처할 수 있습니다.
염색 후 두피 가려움, 핵심 대처법 3줄 요약
- 즉각적인 두피 진정이 중요! 차가운 찜질과 저자극 샴푸로 응급처치를 시작하세요.
- 가렵다고 긁는 것은 절대 금물! 2차 감염의 원인이 되어 탈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증상이 심하다면 즉시 피부과 전문의와 상담하세요. 정확한 진단과 처방이 우선입니다.
참을 수 없는 가려움, 원인부터 알아야 해결책이 보입니다
염색 후 두피가 가려운 이유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바로 염색약의 화학 성분으로 인한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과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입니다.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vs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단순 자극은 염색약에 포함된 암모니아, 과산화수소 등이 두피의 유수분 균형을 깨뜨리고 두피 장벽을 손상시켜 발생합니다. 주로 따가움, 약간의 가려움증을 동반하며 대부분 며칠 내로 호전됩니다. 하지만 알레르기 반응은 차원이 다릅니다. 염색약의 주요 성분인 PPD(파라페닐렌디아민)에 대한 우리 몸의 면역 과민 반응으로, 심한 가려움증은 물론 붓기, 발진, 진물, 수포 등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염색 부위인 두피뿐만 아니라 이마, 얼굴, 목, 귀 주변까지 증상이 번지기도 합니다. 원래부터 민감성 두피거나 건성 두피인 경우, 두피 보호 장벽이 약해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구분 | 주요 원인 | 대표 증상 | 대처 방안 |
---|---|---|---|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 암모니아, 과산화수소 등 화학 성분에 의한 두피 자극 | 따가움, 경미한 가려움, 두피 붉어짐 | 두피 진정, 저자극 샴푸 사용, 보습 관리 |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 PPD(파라페닐렌디아민) 등 특정 성분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 극심한 가려움증, 발진, 붓기, 진물, 수포 | 즉시 병원 방문, 항히스타민제 또는 스테로이드 연고 처방 |
염색 후 두피 가려움, 현명하게 대처하는 4가지 방법
첫째, 즉각적인 응급처치로 두피 열 내리기
가려움이 시작되었다면 가장 먼저 달아오른 두피의 열을 식혀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차가운 물에 적신 수건이나 아이스팩을 수건에 감싸 가려운 부위에 가볍게 대주세요. 이는 혈관을 수축시켜 염증 반응을 완화하고 가려움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두피 쿨링 효과가 있는 두피 토닉이나 두피 에센스를 사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로마티카(Aromatica) 로즈마리 루트 인핸서’나 ‘닥터지(Dr.G) 두피랩 쿨 솔트 롱라스팅 쿨링 토닉’과 같은 제품은 멘톨 성분 등이 함유되어 즉각적인 시원함을 제공하고 두피 진정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사용 시, 두피에 남아있을 수 있는 염색약 잔여물을 깨끗이 헹궈내는 것이 우선입니다. 미지근한 물로 충분히 헹군 뒤, pH 5.5 내외의 약산성 샴푸나 저자극 샴푸를 이용해 부드럽게 샴푸해주세요.
둘째, 가려움의 원인 정확히 파악하고 긁지 않기
가렵다고 해서 손톱으로 두피를 긁는 행위는 절대 금물입니다. 손톱 밑의 세균으로 인해 2차 감염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모낭염이나 심한 경우 탈모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가려움이 며칠이 지나도 가라앉지 않고 붓기, 진물 등의 증상이 동반된다면 단순 자극이 아닌 알레르기 반응일 가능성이 높으므로 자가 진단보다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셋째, 증상이 심하다면 즉시 피부과 방문하기
만약 가려움증이 심하고 발진이나 붓기가 동반된다면 지체 없이 피부과에 방문하여 피부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정확한 진단을 통해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하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거나 염증을 완화하는 스테로이드 연고를 처방받는 등 적절한 병원 치료가 필요합니다. 치료 시기를 놓치면 만성 피부염으로 발전할 수 있으니, 참지 말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세요.
넷째, 재발 방지를 위한 똑똑한 예방법 실천하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방입니다. 염색을 하기 최소 48시간 전에는 반드시 패치 테스트를 진행해야 합니다. 염색약을 팔 안쪽이나 귀 뒤쪽에 소량 바른 뒤, 48시간 동안 가려움이나 발진 등의 이상 반응이 없는지 확인하는 절차입니다. 조금 번거롭더라도 이 작은 습관이 심각한 알레르기 반응을 막을 수 있습니다. 또한, 염색약을 선택할 때는 PPD(파라페닐렌디아민), 암모니아 등의 성분이 없는 순한 염색약이나 천연 염색약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TS 더착한염색’과 같이 PPD 성분이 없는 제품들이 시중에 많이 출시되어 있으니 성분을 꼼꼼히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것이 중요합니다. 셀프 염색보다는 미용실에서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미용실에서는 보통 염색 전 두피 보호제나 두피 오일을 도포하여 화학 성분이 두피에 직접 닿는 것을 최소화하기 때문입니다.
